티스토리 뷰
2023년 12월 현재, 한국의 부동산 시장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값은 전고점의 87% 수준까지 회복했으며, 수도권도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방의 경우 미분양이 쌓이는 등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양상입니다.
전문가들은 2024년에도 수도권 위주의 집값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합니다. 하지만 금리 인상과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상승세는 둔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4년 부동산 시장 전망, 주요 변수는?
2024년 부동산 시장 전망을 가늠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 변수를 고려해야 합니다.
- 금리 인상
한국은행은 2023년 8월 이후 5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인상했습니다. 이에 따라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상승하고 있습니다. 금리 인상은 주택 수요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집값 상승세에 제동이 걸릴 수 있습니다.
- 경기 둔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과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한국 경제가 둔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경기 둔화는 주택 수요와 거래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3기 신도시 공급
정부는 3기 신도시와 공공 재개발, 재건축 등을 통해 2025년까지 약 83만 가구를 공급할 계획입니다. 주택 공급 확대는 집값 안정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PF 대출 부실 가능성
부동산 개발 사업에 대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이 부실화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PF 대출 부실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024년 부동산 시장 전망, 이렇게 될까요?
위와 같은 변수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2024년 부동산 시장은 다음과 같은 양상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 수도권 위주의 집값 상승세 이어질 것
수도권은 주택 수요가 풍부하고, 공급도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집값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금리 인상과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상승세는 둔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 지방은 미분양 증가 지속
지방은 주택 수요가 부족하고, 공급은 과잉이라는 점에서 집값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지방 중소도시의 경우 미분양 증가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 전세난 심화될 것
금리 인상으로 인해 매매보다 전세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전세난이 심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이는 전문가들의 전망일 뿐입니다. 실제 부동산 시장은 다양한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한 전망을 내놓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내 집 마련을 계획하고 있다면, 부동산 시장을 면밀히 분석하고, 신중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동산 투자 전략은?
2024년 부동산 시장은 상승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투자 시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목적에 맞는 투자 전략을 세우기
부동산 투자의 목적은 무엇인지 명확히 하고, 그에 맞는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기 수익을 노리는 투자라면, 단기 급등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공략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인 수익을 노리는 투자라면, 입지와 교통, 생활 인프라 등을 고려하여 안정적인 지역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자산 규모와 위험 감수성을 고려하기
부동산 투자는 큰 자금이 필요하고, 손실 위험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자신의 자산 규모와 위험 감수성을 고려하여 투자 규모와 투자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기
부동산 시장은 복잡하고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혼자 판단을 하는 것보다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게 바람직합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투자 방법과 돈 버는 꿀팁 (0) | 2023.12.13 |
---|---|
서울 주택 실거래, 상승세일까 하락세일까? (0) | 2023.12.12 |
서울 부동산 공시지가, 공동주택가격 확인 방법과 활용 (0) | 2023.12.11 |
부동산 아파트 실거래가 상승 이유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 (0) | 2023.12.11 |
부동산 사기유형과 예방, 이렇게 피할 수 있습니다. (0) | 2023.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