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서울 아파트 실거래, 연초 대비 얼마나 올랐을까요?
2023년 12월 8일 기준,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는 연초 대비 평균 14.6% 상승했습니다.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는 2023년 초부터 상승세를 이어왔습니다. 1월에는 0.3% 상승에 그쳤으나, 2월에는 2.2%, 3월에는 2.8%, 4월에는 3.2%, 5월에는 3.9%, 6월에는 4.4%, 7월에는 4.8%, 8월에는 4.9%, 9월에는 4.6%, 10월에는 4.3%, 11월에는 4.1%, 12월에는 3.9% 상승했습니다.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가 연초 대비 크게 상승한 이유
첫째,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자산가치 상승입니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실물자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파트는 한국에서 대표적인 실물자산으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자산가치 상승을 기대하는 투자자들이 아파트를 매수하고 있습니다.
둘째,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여전히 낮다는 점입니다.
한국은행은 2023년 들어 기준금리를 7차례 인상했습니다. 하지만,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아직도 연 4%대에 머물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주택담보대출을 이용해 아파트를 매수하는 수요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평균 매매가격도 크게 상승
2023년 12월 8일 기준, 서울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11억 5,100만 원입니다. 이는 연초 대비 16.7% 상승한 수치입니다.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의 상승은 서울 시민들의 주거비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가 연초 대비 크게 상승하면서, 서울 시민들의 주거비 부담도 크게 증가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2023년 12월 8일 기준, 서울 아파트의 전세가 대비 매매가 비율은 10.8배입니다. 이는 연초 대비 0.2배 상승한 수치입니다.
전세가 대비 매매가 비율이 10배를 넘으면, 전세를 끼고 집을 사면 오히려 집을 사는 것이 더 저렴해집니다. 하지만, 서울의 전세가 대비 매매가 비율은 이미 10배를 넘어섰고, 앞으로도 더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서울 시민들의 주거비 부담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입니다.
실거래가의 상승은 한국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
부채의 증가
가계가 아파트를 매수하기 위해 주택담보대출을 이용하면, 가계 부채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가계의 소비를 위축시키고, 한국 경제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의 불안정성을 심화
부동산 시장이 과열될 수 있습니다. 이는 부동산 가격의 거품 형성으로 이어지고, 부동산 시장의 불안정성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결론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의 상승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개입이 필요합니다.
정부는 주택 공급을 확대하고, 주택담보대출 규제를 강화하는 등,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의 상승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부동산 시장 전망과 투자전략 (1) | 2023.12.11 |
---|---|
서울 부동산 공시지가, 공동주택가격 확인 방법과 활용 (0) | 2023.12.11 |
부동산 사기유형과 예방, 이렇게 피할 수 있습니다. (0) | 2023.12.11 |
부동산 대출, 중도상환, 이렇게 하면 손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0) | 2023.12.11 |
은평구 대조동 재개발 총정리, 대조1구역 및 대조동 모아타운, 역세권재개발 (2) | 2023.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