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2023년 부동산 시장, 침체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2023년은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이어지는 한 해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2023년 9월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100.8로 전년 동월 대비 3.3% 하락했는데 이는 2019년 10월 이후 4년 만에 가장 큰 하락폭입니다. 전세가격지수도 100.0으로 전년 동월 대비 4.0% 하락했습니다.

부동산 시장 침체의 원인

첫째 금리인상입니다. 한국은행은 2022년 8월부터 기준금리를 5차례 연속 인상하며, 현재 3.25%까지 올렸고 금리가 오르면 대출 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집값을 내리는 요인이 된다.

둘째, 경기 침체 우려입니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으로 인해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 이는 경기 침체가 현실화되면 실수요자들의 구매력이 위축되면서 집값 하락이 더욱 심화될 수 있습니다.

2023년 하반기 부동산 시장은 침체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만, 정부의 규제 완화와 금리 인상 속도의 완화가 시장 안정에 일정 부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는 올해 1월부터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에 대한 대출 규제를 완화하고,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을 70%까지 상향했고 또한, 9월에는 분양가상한제 대상 아파트의 가격 상한선을 5%까지 완화했습니다.

금리 인상 속도도 완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은행은 2023년 하반기 기준금리를 2% 수준에서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금리 인상 속도가 완화되면 대출 상환 부담이 줄어들면서 집값 하락을 억제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을 감안하면, 2023년 하반기 부동산 시장은 침체가 지속되겠지만, 하락폭은 전반적으로 둔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부동산 투자 시 고려해야 할 사항

부동산 시장이 침체기에 접어들면서 투자자들의 고민도 커지고 있다. 부동산 투자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목적

부동산 투자의 목적은 무엇인지 명확히 해야 한다. 투자를 통해 시세차익을 얻고자 한다면, 단기적인 매매차익을 노리기보다는 장기적인 투자를 고려해야 합니다.

  • 지역

투자 지역을 선정할 때는 해당 지역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교통, 교육, 일자리 등 인프라가 잘 갖춰진 지역이 유망합니다.

  • 상품

투자 상품을 선택할 때는 해당 상품의 특성과 위험성을 이해해야 합니다. 아파트, 오피스텔, 상가 등 다양한 상품이 있으므로, 자신의 투자 성향과 목표에 맞는 상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 자금

투자에 필요한 자금을 충분히 확보해야 하는데 주의할 점은 부동산 투자는 단기간에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투자가 아니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를 진행해야 합니다.

부동산 시장은 변동성이 큰 시장이므로 따라서 투자를 결정하기 전에 충분한 정보를 습득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