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목차

    페이드 현상이란

    페이드 현상은 브레이크 페달을 자주 밟아 큰 에너지의 마찰열이 생기고, 그로 인해 자동차 제동장치 중 하나인 라이닝이 가열 또는 변질되어 제동력이 약해지는 현상으로서 베이퍼록 현상의 전 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라이닝은 어떤 물건의 표면을 피폭으로 보호하는 것을 의미하며, 마찰계수는 두 물체가 접촉하고 있을 때, 접촉면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크기와 두 면을 수직으로 누르고 있는 힘 크기의 비율을 의미하는데 베이퍼록과 유사한 페이드 현상은 브레이크를 자주 밟아 생긴 마찰열 때문에 라이닝이 변질되어 마찰계수가 떨어지면서 브레이크가 밀리거나 작동하지 않는 현상입니다. 빠른 속도로 달릴 때 브레이크 페달을 지나치게 밟으면 라이닝과 디스크 등 관련 부품의 온도가 상승하는데요. 이때 마찰계수가 극히 작아져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페이드현상을 방지하는 방법

    페이드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드럼과 디스크 사용: 열팽창에 의한 변형이 적고 방열성이 높은 재질과 형상을 사용합니다.
    2. 라이닝과 패드 사용: 온도 상승에 의한 마찰 계수의 변화가 적은 라이닝과 패드를 사용합니다.
    3. 브레이크 오일 교환: 브레이크 오일을 정기적으로 40,000km 주행마다 브레이크 오일을 교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엔진 브레이크 사용: 내리막길 주행 시 제동은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합니다. 풋 브레이크의 사용 빈도수를 줄이고 엔진 브레이크만으로만 서서히 속도를 줄여주시면서 천천히 주행하는 방법도 좋습니다.
    주행 중 브레이크가 제대로 작동하는 것 같지 않을 경우에는 주행 페이스를 다소 낮추면서 브레이크를 식혀주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초기에 이 현상을 잡아줄 경우에는 10분 내외로 빠르게 식어서 브레이크가 밀리는 현상을 잡을 수 있습니다.

    베이퍼록 현상이란

    베이퍼록(Vapor Lock)은 브레이크의 마찰열 상승으로 브레이크액이 끓어올라 기포가 발생해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급격히 떨어져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 현상을 말하는데 특히 30도가 넘는 무더위에서는 아스팔트의 복사열이 브레이크 장치를 가열시켜 베이퍼록 현상을 유발합니다. 이처럼 자동차의 마찰 브레이크 과열 및 도로 표면 온도 상승 등의 이유로, 제동력을 전달해 주는 브레이크 오일이 끓어오르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요. 이때, 증기 (Vapor)에 의한 기포가 브레이크 배관에 발생하여 브레이크가 전혀 듣지 않게 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긴 내리막길 등에서 짧은 시간에 풋 브레이크를 자주 밟으면 차륜 부분에 높은 마찰열이 발생하는데, 이때 증기 (Vapor)로 인해 오일 속에 기포가 발생하여 브레이크가 잠기는 (Lock) 현상입니다.

    베이퍼록 현상의 방지법

    베이퍼록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실린더 라이너의 외부를 냉각시킨다.
    2. 흡입관 지름을 크게 하거나 펌프의 설치위치를 낮춘다.
    3. 흡입배관 경로를 청소하고, 단열 처리한다.
    4. 브레이크 오일의 정기적인 교환을 일반적으로 30,000km~40,000km를 주행할 때 마다 브레이크 오일을 교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5. 내리막길 주행 시 제동은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풋 브레이크의 사용 빈도수를 줄이고 엔진 브레이크만으로만 서서히 속도를 줄여주시면서 천천히 주행하는 방법도 좋습니다.
    주행 중 베이퍼록 현상이 발생하면 비상등을 켠 후,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 마찰 브레이크를 냉각시키고 엔진브레이크를 활용하여 기어의 단수를 차례대로 낮춰 속도를 줄여야 하고 핸드브레이크를 천천히 당겨 차량을 정차시켜야 합니다.

    페이드현상과 베이퍼록 현상의 차이점

    페이드 현상과 베이퍼록 현상은 모두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감소하는 현상이지만, 그 원인과 특성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페이드 현상은 브레이크를 자주 밟아 생긴 마찰열 때문에 라이닝이 변질되어 마찰계수가 떨어지면서 브레이크가 밀리거나 작동하지 않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주로 긴 내리막길 등에서 브레이크를 자주 밟을 때 발생하는 반면에, 베이퍼록 현상은 브레이크의 마찰열 상승으로 브레이크액이 끓어올라 기포가 발생해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급격히 떨어져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현상은 주로 30도가 넘는 무더위에서 아스팔트의 복사열이 브레이크 장치를 가열시켜 발생합니다. 따라서, 페이드 현상은 주로 마찰에 의한 열로 인해 발생하는 반면, 베이퍼록 현상은 브레이크액의 기화로 인해 발생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