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경강선은 인천 송도역(수인분당선)과 강원 강릉역을 연결하는 복선전철입니다. 현재 판교역 ~ 여주역 구간만 일반 전동열차가 운항하고 있고 용인특례시와 광주시는 경강선 연장사업을 국토교통부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시키는 것을 목표로 사전타당성 조사용역에 착수했다고 하네요.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목차
경강선 연장사업의 의미
경강선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중 하나로, 수도권과 경상 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노선입니다. 현재 경강선은 수도권의 인천과 경기도 부천을 경유하여 부산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경강선의 연장은 국내 철도 네트워크의 발전과 교통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 사업입니다. 연장 공사는 기존 경강선 노선을 더욱 확장하여 다른 도시들과 연결하거나, 더 빠르고 효율적인 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집니다. 연장이 이루어지면 지역 간 이동이 더욱 편리해지고, 국내외 지역과의 연결이 강화되어 경제적인 활동과 교류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대중교통의 효율성 향상과 환경 보호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며, 교통체증 해소와 지역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사업입니다. 이러한 경강선 연장 사업은 국가와 지방 정부의 협력과 투자, 그리고 시민들의 이해와 협조가 필요한 중요한 사업이므로, 지속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합니다. 부디 성공적으로 추진되어 많은 이점을 가져다줄 수 있기를 바라며, 국내 철도 체계의 발전과 국민들의 편리한 이동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역사, 현재 노선도와 거리
경강선은 원래 따로따로 분리된 노선을 하나로 합친 것입니다. 1999년 국가기간교통망계획에 실린 제2공항철도(인천공항~광명)와 원주강릉선이 먼저 진행되었고 2001년 수도권광역교통망계획에서 수도권남부순환선(광명~판교)와 이천선(판교~이천)이 추가되었으며, 이천선은 2004년 여주선으로 연장되었습니다. 현재 경강선은 판교역 ~ 여주역 구간만 일반 전동열차가 운항하고 있습니다. 현재 판교와 여주 사이의 정거장은 판교, 이매, 삼동, 경기광주, 초월, 곤지암, 신둔도예촌, 이천, 부발, 세종대왕릉 그리고 여주역이 종점이네요. 판교역에서는 신분당선으로 환승이 가능하며 이매역은 수인분당선으로 환승이 가능합니다. 판교역에서 여주역까지의 거리는 서울역에서 오산역까지의 거리와 비슷합니다. 하지만 소요시간은 48분으로, 일반열차 80분, 급행열차 67분, 무궁화호 41~47분을 감안하면 무궁화호급 표정속도라고 생각해도 될 수준입니다.
연장사업 진행상황
경강선 연장사업은 경기 광주 삼동역에서 노선을 분기해 용인 모현, 이동, 남사까지 40.2㎞ 구간을 연장하는 사업입니다. 용인시와 광주시는 경강선 연장사업을 국토교통부의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시키는 것을 목표로 사전타당성 조사용역에 착수했다고 밝혔습니다. 1억 7596만 원의 사전타당성 조사용역 비용은 용인시와 광주시가 6대 4의 비율로 분담하며, 23년 6월 26일 시작한 조사는 내년 6월 24일까지 신명이엔씨 (주)가 진행합니다.
결론
경강선은 경기도 시흥시 월곶역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릉역을 이을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 노선으로 월판선 (경강선)의 핵심은 주요 거점역들이 거의 환승역이라는 점인데요. 1회 환승을 통해 서울뿐만아니라 경기도 주요 지역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노선으로 앞으로 사전타당성조사가 완료되어 국가철도망에 중요한 노선이 되었음 바람입니다.
'쏠쏠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중앙은행 ECB (European Central Bank)의 기준금리 (0) | 2023.07.23 |
---|---|
섬유유연제 사용법과 순서 , 주의사항 (0) | 2023.07.22 |
산재보험 유족급여에 대해 ( 유족 산재보상 ) (0) | 2023.07.22 |
탄소중립의 필요성과 의미 (0) | 2023.07.22 |
외환거래 통화 스와프의 뜻과 장점과 단점 (0) | 2023.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