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태풍 이름짓는방법
태풍 이름짓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태풍 이름 짓는 방법은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이루어지며, 기상기관들이 함께 협력하여 태풍에 이름을 부여합니다. 이러한 방법은 태풍의 추적과 통신을 용이하게 하며, 대중이 태풍을 기억하고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요. 이 글에서는 태풍 이름 짓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목차

    태풍이름 짓는 방법

    태풍의 이름은 태풍위원회(ESCAP/WMO 태풍위원회)에서 결정됩니다. 이 위원회는 14개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회원국은 자신의 언어로 10개의 이름을 제안하여 총 140개의 이름이 만들어집니다. 이 이름들은 28개씩 5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며, 국가 이름의 로마자 알파벳 순서에 따라 그룹 1부터 그룹 5까지 순환하며 사용됩니다.

     

    1. 국제 태풍 이름 위원회 (WMO) 협력: 세계 기상 기구(WMO)는 태풍 이름을 관리하고 국제적인 협력을 조정하는 기구입니다. WMO는 지구상의 다양한 기상기관들과 함께 태풍 이름 목록을 유지하고 업데이트합니다.
    2. 지역적 협의: 태풍이 발생하는 지역마다 해당 지역의 기상 관리 기관과 협의하여 이름을 선택하는데요. 예를 들어, 태풍이 태평양 지역에서 발생하는 경우 태풍의 이름은 태평양 지역의 기상 관리 기관들과 협의를 통해 결정됩니다.
    3. 이름 목록: 각 지역별로 이름 목록을 미리 작성하여 사용합니다. 이 이름 목록은 알파벳 순서로 정렬되며, 여성 이름과 남성 이름이 번갈아가며 사용됩니다.
    4. 교체와 의사소통: 태풍의 이름이 사용된 경우, 그 이름은 다음 태풍 시즌 때까지 사용되지 않도록 교체되고 이는 동일한 이름이 다시 사용되지 않도록 하여 혼동을 방지하고, 이전 태풍과 구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대중에게 태풍의 이름과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매체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홍보와 의사소통이 이루어집니다.
    5. 문화적 고려: 태풍 이름은 각 지역의 문화와 관습을 고려하여 선택됩니다.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고 태풍의 이름이 현지 주민들에게 부적절하거나 불쾌하지 않도록 주의가 기울어집니다.
    6. 새로운 이름의 추가: 일부 지역에서는 태풍 이름 목록에 새로운 이름을 추가하기 위해 공모전을 개최하기도 합니다. 이를 통해 대중 참여를 유도하고 다양한 이름을 도입할 수 있습니다.
    7. 중복 이름 회피: 다른 지역에서 이미 사용 중인 이름과 중복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이를 통해 국제적인 태풍 추적과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태풍의 위력

    태풍은 강력한 폭풍으로, 그것이 강타하는 지역에 상당한 피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태풍의 강도는 Saffir-Simpson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되며, 이 척도에는 5개의 범주가 있습니다. 1 범주는 지속적인 풍속이 119~153 km/h 사이인 폭풍(태풍/허리케인/사이클론)을 의미합니다. 반면, 5 범주의 폭풍은 지속적인 풍속이 252 km/h를 초과합니다. 태풍의 크기는 풍속이 15 m/s를 초과하는 지역의 반경으로 분류됩니다. 강도와 크기는 태풍의 다른 측면을 나타냅니다. 즉, 강하지만 크지 않은 태풍과 크지만 강하지 않은 태풍이 있을 수 있습니다.

    카눈의 위력

    태풍 카눈(KHANUN)은 8월 10일 오전 경상남도 통영 인근에서 상륙할 예정이며 한반도 중심부를 지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상청은 카눈의 중심기압이 8월 9일 오전 3시 기준으로 970 hPa였다고 밝혔고 강도는 최대 풍속이 35 m/s (126 km/h)로 '강’으로 분류됩니다. 

    허리케인과 차이점

    태풍과 허리케인의 차이점은 폭풍이 발생하는 위치입니다. 허리케인과 태풍은 같은 기상 현상인 열대성 사이클론입니다. 열대성 사이클론은 기상학자들이 열대 또는 아열대 바다 위에서 발생하고 폐쇄된 저층 순환을 가진 회전하는 구름과 뇌우의 조직된 체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하는 일반적인 용어입니다. 북대서양, 중앙 북태평양, 동북태평양에서는 허리케인이라는 용어가 사용됩니다. 같은 종류의 교란이 북서태평양에서는 태풍이라고 불립니다. 한편, 남태평양과 인도양에서는 날씨 체계와 관련된 바람의 강도에 관계없이 열대성 사이클론이라는 일반적인 용어가 사용됩니다.

    열대성 사이클론 뜻

    열대성 사이클론은 저기압 중심, 폐쇄된 저층 대기 순환, 강한 바람, 그리고 폭우와 스콜을 일으키는 뇌우의 나선형 배열이 특징인 빠르게 회전하는 폭풍 체계입니다. 열대성 사이클론은 위치와 강도에 따라 허리케인, 태풍, 열대성 폭풍, 사이클론 폭풍, 열대성 저기압 또는 단순히 사이클론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데요. 허리케인은 대서양이나 북동태평양에서 발생하는 강한 열대성 사이클론이며, 태풍은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합니다. 인도양, 남태평양 또는 (드물게) 남대서양에서는 "열대성 사이클론"이라는 비슷한 폭풍이 있으며, 인도양에서 이러한 폭풍은 "강한 사이클론 폭풍"이라고도 불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