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국가 보청기 지원금으로 무료착용하기~ 정부지원 보청기 신청안내

보청기 정부 지원금은 제품 비용과 후기 적합관리비용으로 분리하여 지급이 되는데요. 보청기 지원 금액은 건강보험 가입자 기준 보청기 한대당 약 131만 원을 (구매액의 최대 90%) 지원받습니다. 나이와 급수에 상관없이 청각장애인으로 등록되었다면 국가가 지정한 제품으로 구입할 수 있도록 보청기 금액을 지원하고 있는 제도입니다. 보청기 정부 지원금을 받을 때에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지정한 제품만 구매가 가능한데, 6대 브랜드 사 중 와이덱스보청기를 제외한 오티콘 보청기, 포낙 보청기, 스타키 보청기, 시그니아 보청기, 벨톤 보청기를 구입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금액은 건강보험 가입자 (일반, 차상위계층)인지 기초생활수급자 인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리고 세부기준에 따라 편측 또는 양측 지원 여부가 결정됩니다.

난청일땐 보청기 사용하세요
난청일떈 보청기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난청 여부 판단방법

부모님의 연세가 많아지면 일상생활에 대화가 원할하지 않은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난청은 결국 청력 장애, 즉 잘 듣지 못하는 증상을 의미합니다. 난청의 정도에 따라 소리를 듣는 어려움의 차이가 있습니다. 난청은 소리 전달 문제의 부위에 따라 크게 3종류 (전음성 난청, 감각신경성 난청, 혼합성 난청)로 분류됩니다. 원인은 다양합니다. 감각신경성 난청의 일반적인 원인으로는 선천성 난청, 노화, 큰 소음에 노출, 머리 부상, 유전, 메니에르병 (Ménière’s disease), 의약품의 부작용 등이 있습니다. 전도성 난청의 일반적인 원인으로는 외이염, 중이염, 외이도 폐쇄증, 증후군 (다운 증후군, 골드하르 증후군, 트리처 콜린스 증후군 등), 만성 유양돌기염 또는 중이 감염, 피부 증식 또는 낭종 (중이진주종), 귀에서 고름이 나옴, 만성 귀 감염, 이전의 귀 수술, 양성 종양 등이 있습니다. 이럴 땐 보청기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신청방법과 Q & A

보청기 지원금 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이비인후과에서 청력검사를 진행합니다. ( 장애진단검사 비용 발생)

보청기 처방전을 들고 보청기 지원금 신청이 가능한 보청기를 구매합니다. 그리고 나서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서류제출을 하고 심사를 기다립니다. 통과가 되어 복지카드를 발급을 받으면 5년에 1번 보청기 구입비를 지원을 받게 됩니다. 최대 지원비는 131만 원이고 기초생활, 의료수급자, 차상위계층은 100% 지원이 되며 일반은 90% 지원이 됩니다. ( 10%는 본인 부담 )

반응형